정말 정부 - 지자체 - 교육청 - 일선 학교 - 학부모 간이 공감대가 정말 필요한 상황입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정부가 예고한 유·초·중·고교 및 특수학교 개학일이 11일 앞으로 다가왔다. 학사일정 진행에 어려움을 감수하면서 여러 차례 늦췄기 때문에 개학을 추가 연기하는 건 어려운 상황이다.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다시 급증하거나 학교 내 집단감염 가능성이 커진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개학은 예정대로 이뤄진다고 봐야 한다. 남은 기간 교육·방역 당국과 개별 학교가 꼼꼼하게 준비해 방역 체계를 탄탄하게 갖춰야 한다. 준비 부족이나 방심으로 학교 내 집단감염이 발생하는 일이 있어서는 결코 안 될 것이다.
교육부가 24일 시·도교육청과 전국의 학교에 배포한 감염예방 관리 지침을 바탕으로 서둘러 대비해야 한다. 교직원들부터 학교와 가정, 등하교 공간에서 지켜야 할 위생수칙과 대응 매뉴얼을 숙지하고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가정통신문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. 섭씨 37.5도 이상의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등교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한데 학부모들에게 그에 따른 불이익이 없다는 걸 납득시킬 필요가 있다. 수업과 급식 과정에서 밀접 접촉하지 않도록 교실과 급식시설 공간을 재배치하거나 운영 방식을 바꾸는 것도 염두에 둬야 한다. 체온계, 손소독제, 보건용 마스크 등 방역물품 확보에도 차질이 있어서는 안 된다. 일부 품목은 공급이 부족해 가격이 치솟았고 그나마 구하기도 쉽지 않다고 하는데 일선 학교에 맡겨둘 게 아니라 시·도교육청이 일괄 구매해 배분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. 학교 내에서 유증상자가 발생할 경우 학부모에게 인계하기 전 임시 대기할 수 있는 공간도 필요하다. 학교 및 통학차량 소독을 강화하고 기숙사생의 생활지도, 급식 종사자 건강 관리, 외부인 출입 관리도 더 철저히 해야 하는 건 물론이다. 학교 내에서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엔 시설 이용 제한 등 대응 매뉴얼이 곧바로 시행될 수 있어야 한다. 접촉을 줄이기 위해 등하교시간, 휴식시간, 점심시간을 교차 실시하라는 지침도 적극 검토하길 바란다.
사전에 준비하고 개학 후에도 챙겨야 할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. 하지만 학생들 안전을 위해서는 피해갈 수 없다. 학교가 위험해지면 공들여 유지해 온 우리 사회의 방역 시스템이 뿌리부터 흔들릴 수 있다. 시·도교육청은 일선 학교에서 예방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독려해야 한다. 학교 방역이 성공하려면 학부모들의 협조가 절실하다. 학교의 방역 준비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가정 내 위생 수칙 준수 등에 협조를 구해야 할 것이다.
'책리뷰 & 신문사설읽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朝鮮칼럼 The Column] 바이러스와의 세계적 투쟁을 승리로 이끌 유일한 전략출처 (0) | 2020.04.19 |
---|---|
[안혜리의 시선] 의사와 택배기사가 한국을 살렸다[출처: 중앙일보] (0) | 2020.03.23 |
포장을 거절할 권리 [경향신문]_고금숙 | 플라스틱프리 활동가 (0) | 2020.03.23 |
[책리뷰]차별화의 천재들 (원제: Simply Briliant)_월리엄 테일러 지음 (0) | 2020.03.15 |